한자로

형성 문자는 닮은 소리끼리 모아서 익힌다

 

한자의 다수가 형성 문자(形聲文字)로 되어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큰 덩어리를 수확할 수 있는 한자공부를 위해 앞의 포스팅에서는 형성 문자의 형부(形部) 격인 한자의 머리 부분인 부수(部首)가 닮은 것끼리 익혀가는 예를 들었습니다. 여기서는 형성 문자의 오른쪽이나 아래 부분에 놓인 성부(聲部)에 대해 닮은꼴끼리 공부하는 방법을 나누고자 합니다.

 

성부를 깊이 들여다보고 큰 깨우침이 있으시길 기대합니다. 학교에서는 형성 문자가 무엇이라는 조자 원리 정도만 학습할 뿐 형성 문자의 형부 및 성부에 대해 이들이 한자공부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다루지는 않는 듯합니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만 한자공부의 맛을 제대로 보려면 형성 문자의 형부와 성부를 통해 직접 한자를 익히는 기회를 갖기를 권합니다.

 

한자로(hanjaro)가 권하는 한자공부 순서

 

여기서는 形聲文字 중에서 聲部를 이용하여 한자 공부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214개의 부수를 익히는 과정에서도 기회 있을 때마다 形聲文字의 聲部가 같은 것끼리 최소한 두세 개의 한자를 통해 가장 단순한 문장의 구성 요소인 主部와 述部의 단수한 틀을 이용하여 한자의 뜻을 찾아가는 연습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하여금 령(令) 자를 가지고 풀어가보겠습니다. 령(令) 자는 모일 집(亼) 자와 병부나 신표를 뜻하는 절(卩) 자가 모여서 하여금, 명령(命令)하다, 부리다, 시키다 라는 뜻이 된 회의 문자(會意文字)이다. 회의 문자는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한자를 합하여 새로운 뜻을 나타내는 원리이다. 령(令) 자에 나타난 집(亼) 자는 인(人) 부수에 해당하는 한자인데 좀 더 풀어보면 사람(人)이 한(一) 곳으로 모이다(亼)라는 뜻을 나타내는 회의 문자이다. 그럼 령(令) 자는 사람들을 한 곳에 모을(亼)  수 있는 병부(兵符)나 신표(信標, 卩)를 주어 이로 하여금(令) 군을 부리거나(令) 시킬(令) 수 있도록 명령하는(令) 우두머리(令)라는 뜻으로 풀 수 있습니다.

 

명령에 순종하는 것은 착하고 아름답게 보여 령(令) 자는 '착하다·아름답다·착하다'라는 뜻도 있습니다. 또한 령(令) 자는 '명령하다(令)'라는 뜻에서 파생되어 확산되면서 '우두머리(令)'라는 뜻도 생겼습니다. 우두머리는 꼭대기를 뜻하기도 하므로 령(令) 자가 성부(聲部)로 쓰인 한자들의 뜻을 가늠할 때는 이들 령(令) 자의 뜻들을 하나씩 넣어가면서 새로운 한자의 뜻을 아래와 같이 짐작해볼 수 있습니다.

 

하여금 령(令)

 

  • 머리(頁)가 꼭대기(令)에 놓이도록 하는 매우 요긴한 부위인 '목, 옷깃, 가장 요긴한 곳 령(領)'

  • 산(山)이 목(領)처럼 잘록한 부위인 '재, 산봉우리 령(嶺)'

  • 비(雨)가 시킨 듯(令) '조용히 오는 비 령(零)'

  • 옥(玉→王)이 시킨 듯(令) 내는 '옥소리 령(玲)'

  • 쇠(金)가 시킨(令) 듯 딸랑이는 '방울 령(鈴)'

  • 둘레(囗)가 처짐으로 하여금(令) 만들어진 '감옥 령(囹)'

  • 이빨(齒)이 모여있는 것으로 하여금(令) 헤아릴 수 있는 '나이 령(齡)'

  • 사람(亻)이 부린(令) 듯 '영리할 령(伶)'

  • 마음(心→忄)이 시킨(令) 듯 '영리할, 지혜로울 령(怜)'

  • 귀(耳)가 시킨(令) 듯 '들을, 좇을 령(聆)'

  • 산(山)이 우두머리(令)인 듯 위치한 '재 령(岺)'

  • 깃(羽)이 시킨(令) 듯 날아가는 '(화살) 깃 령(翎)'

  • 양(羊)이 우두머리(令)처럼 '영양(羚羊) 령(羚)

 

위의 한자들의 뜻이 만들어진 예를 보면 형성 문자의 형부(形部)인 부수 부분인 A와 성부(聲部)인 B 부분에는 모양이 서로 비슷하거나 같음을 나타내는 격조사 ~처럼 또는 ~하듯을 사용하여  「A가 B 하듯 C」라는 식으로 C의 뜻을 만드는 방식으로 수많은 한자들의 뜻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물론 령(令) 자가 성부로 쓰인 한자들은 한 뭉텅이를 쉽게 읽을 수 있는 것은 물론입니다. 현대처럼 한자가 생소한 세상에서는 한자를 읽을 수 있는 것만도 큰 능력이라고 여겨집니다. 이런 능력은 형성 문자의 성부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는 도중에 자연스럽게 복습이 되어 쉽게 익혀 기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형성 문자의 형부에 해당하는 부수를 하나씩 공부해가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귀한 시간을 내셔서 함께 해주신 님께 감사드립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